온라인 예배 및 송출 환경을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안정적으로 입력하고 출력하는 것입니다. 본 글에서는 교회 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두 가지 상황을 중심으로 장비 구성을 설명합니다.
1. 기본 구성 원리
온라인 송출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이루어집니다.
- 입력: 카메라와 믹서 등에서 영상·음성 신호 입력
- 처리: 캡쳐보드, 오디오 인터페이스, 스위처 등을 통해 신호 변환 및 제어
- 출력: OBS 등의 송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온라인 플랫폼(YouTube, Zoom 등)에 전송
2. 상황별 장비 구성
✅ 상황 1: 기존 음향 장비는 보유, 단일 카메라 사용
- 필요 장비
- PTZ 카메라 (또는 일반 HDMI 출력 카메라)
- HDMI 캡쳐보드 (USB 타입 권장)
- 오디오 인터페이스 (또는 USB 연결 지원 디지털 믹서)
- 구성 방식
- 카메라의 HDMI 출력을 캡쳐보드를 통해 PC로 입력
- 믹서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PC에 연결
- 디지털 믹서 사용 시 USB 연결로 오디오 전송 가능
⚠️ 주의: PC 내장 사운드카드의 라인 입력은 전기적 노이즈가 심해 비추천합니다.
💡 최근에는 USB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믹서가 많이 출시되어, 비용과 설치 편의성 측면에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.
✅ 상황 2: 카메라 2대 이상 사용, 다양한 앵글 필요
- 필요 장비
- PTZ 카메라 + 전용 컨트롤러
- 비디오 스위처 (예: Blackmagic ATEM MINI 시리즈)
- 구성 방식
- 여러 대의 카메라를 스위처에 연결하여 원하는 화면 선택
- 스위처의 출력 신호를 캡쳐보드나 USB 출력으로 PC에 입력
- 오디오 역시 스위처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기화
- 카메라 연결 방식
- 단거리: HDMI 케이블 사용 가능
- 장거리: SDI 출력 지원 카메라 권장 (예: PTZ-HD20AS 모델은 HDMI/SDI 동시 지원)
- 스위처 특징
- ATEM MINI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별도 장비 불필요
- 일부 모델은 녹화 및 직접 스트리밍 기능까지 제공
- 단점: SDI 입력 미지원 → SDI to HDMI 컨버터 사용 필요
3. 기타 활용 방법
- 스마트폰을 웹캠처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
- XLR 입력 지원 캠코더 연결
- 최신 미러리스 카메라의 웹캠 모드 및 직접 스트리밍 기능 활용
4. 안정적 송출 환경 구축 팁
- 인터넷 연결: 무선보다는 유선 환경 필수
- PC 활용: 자막(PPT) 삽입, 그래픽 처리 등을 고려할 때 데스크탑 송출이 안정적
- 핵심 원칙: 입력 → 처리 → 출력의 흐름을 이해하고, 신호 전송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확보
결론
온라인 송출 시스템은 장비가 다양해 보이지만, 기본 구조는 단순합니다.
“영상·음성을 안정적으로 입력 → 필요에 맞게 처리 → 온라인 플랫폼으로 출력”
이 원칙을 기반으로 상황에 맞는 장비를 선택하면 안정적인 송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.
https://smartstore.naver.com/soundsys/products/5654972978
4K PTZ 카메라 PTZ-HD20AK 20배줌 AVMASTER 공연 예배 비대면 방송 : 톤즈
[톤즈] 톤즈오디오 by 사운드시스템 AVMASTER 공식몰 음향 영상 쇼핑몰
smartstore.naver.com